" 우리는 평균간의 차이를 즉 X 집단의 평균적 구성원과 Y 집단의 평균적 구성원 간의 차이를 파악하는 데에는 뛰어나지만 집단 내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능력은 부족하다. 범주화로 인해 우리는 어떤 사회범주에 있는 구성원들이 실제보다 서로 더 닮아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
등록일 : 2019.04.04
" 우리가 무엇을 생각하고, 어떤 행동을 하고, 무슨 말을 하는지는 한없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아이들이 자라는 환경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환경은 아이를 도와주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합니다. - p.70 모든 관계에서 자아의 움직임과 반응들을 끊임없이 알..”
등록일 : 2019.03.30
" 중력이 아주 강력하면 빛조차 그 중력장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렇게나 강한 중력장을 동반하는 천체를 우리는 블랙홀black hole이라고 부른다. 이것이야말로 주위 상황에 아랑곳 않는 불가해한 우주적 체셔 고양이인 것이다. 밀도가 충분히 높고 중력이 한곗값 이상으로 강..”
등록일 : 2019.03.27
" 아이를 가르친다는 것은 아이가 자유와 온전함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자유로우려면 질서가 있어야 하고, 미덕만이 질서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온전함은 진정한 간소함이 있을 때에만 생깁니다. 셀 수 없이 많은 복잡한 것들에서 간소한 삶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우리 ..”
등록일 : 2019.03.23
"페테르 파울 루벤스<아이의 얼굴>,1616년경, 목판에 붙인 캔버스에 유채, 33*26.3cm 마술사와 같은 그의 솜씨는 모든 것을 생기 발랄하게 하고 강력하고 유쾌하게 살아 숨쉬는 것으로 만들 수 있었다. 이와같은 그의 완벽한 기량은 그의 간단한 소묘 작품이나 재미..”
등록일 : 2019.03.23
"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잘 알고 지내는 원소들의 과거를 되돌아보자. 그것들은 일단 별 내부에서 합성되어 성간 공간으로 나간 다음, 거기서 성간운의 구성 성분으로 남아 있다가, 그 성간운에서 중력 수축이 이루어지면 그 결과 차세대의 별과 행성의 구성 성분으로 다시 ..”
등록일 : 2019.03.20
" 교육의 목적은 개인 사이의 바른 관계와 더불어 개인과 사회의 바른 관계를 키워 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교육은 무엇보다도 개인이 자신의 심리 과정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도움이 되어야 합니다. 지성은 자신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 자신을 초월하는 데 있습니다. 하지만..”
등록일 : 2019.03.20
" 태양과 같은 종류의 별들은 무더기로 태어난다....성간운 내부에서 별이 탄생한다고 하더라도 바깥에서는 그저 어둑어둑하고 음침한 암흑 성간운으로 보일 뿐이다. 그러나 고온의 신생 항성에 의해 전리된 기체가 빛을 방출하므로 성운 내부는 황롷한 장관을 이룬다. 얼마간의 시간이 지나..”
등록일 : 2019.03.13
"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할 때 죄책감을 갖지 않는다면, 자신의 행동이 자녀의 여리고 약한 심성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아도 된다면, 아이를 기르기는 더 쉬워질 것이다. 물론 이건 부모의 입장에서 쉽다는 의미고 아이들 입장에서는 오십보백보다. 전통사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