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컬렉션 (6건)

더보기
  • D6. 나의 구석

      내 방 침대, 소파 구석, 자주 가는 카페 그리고 느티나무도서관. 누구에게나 애착을 느끼는 특별한 공간이 있습니다.  유독 편안함을 느끼는 나만의 장소, 공간을 이루는 물건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자신만의 ‘특별한 구석’을 살펴볼까요?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이야기를 담은 건축: 업사이클링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너머의 세계를 바라보는 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도서관 지어 올리는 법

    정림학생건축상 전시 밤의 도서관을 맞아 느티나무도서관 사서들이 컬렉션을 엮었습니다.건축가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는 자료, 도서관을 주제로 한 다양한 이야기, 무언가를 짓고, 더하고, 부수고, 나만의 것을 만드는 이야기를 모았습니다.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참고서비스 (5건)

더보기
  • 질문 아이콘 집의 여유공간을 활용하고 싶어요.

    최근 이사하여 집 공간이 넓어졌어요. 
    집의 일부를 활용해 수익을 내고 싶습니다. 
    쉐어하우스는 어려울 것 같고
    식물을 돌봐서 판매하거나 공부방을 여는 안을 생각해봤습니다.

    이 공간을 활용해 매달 소득을 더 올려서 자립했으면 하는데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관련한 책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등록일 : 2024년 05월 21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질문 아이콘 독서정보, 책소개 관련 온라인 공간

    이제 다 성장한 아이들을 둔 엄마이며, 직장인입니다. 

    책과 좀 가까이 지내고 싶어 문의를 드립니다.

    직장 오고가며, 소파에 누워,

    가볍게 듣고 볼수 있는 책 관련 온라인 공간( 유투브 등)을 소개받고 싶습니다.

    주제는 상관없지만, 

    인문학, 사회이슈 등에 집중되어도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등록일 : 2022년 11월 30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 질문 아이콘 무서운 만화책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느티나무도서관을 애용하고 있는 이용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호러 만화책을 좋아하는 편인데 느티나무도서관에 그런 장르에 만화책이 있을지 궁금하여 글을 남깁니다.

     

    제가 재밌게 읽은 만화책은 이토준지의 <이토준지 공포박물관> 시리즈입니다.

     

    그리고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사서 선생님들의 추천받아 재밌게 읽었던 책으로는 <보테>, <카사네>가 있습니다.

     

    <보테>는 그래픽 노블이지만 재밌게 읽었습니다.

     

    꼭 귀신이 등장한다거나 기분 나쁜(?) 결말로 가지 않아도 좋습니다!

     

    섬뜩한 면이 있거나 인간의 추악한 면을 보여주는 만화책 혹은 그래픽 노블도 환영합니다^^

     

     

     

    느티나무도서관 구성원 여러분,

     

    항상 보이는 곳에서, 보이지 않는 곳에서 정성껏 느티나무도서관이라는 따뜻하고 특별한 공간을 위해 힘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느티나무도서관 이용자로서 선생님들 덕분에 참으로 행복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2년 10월 05일

    SNS 아이콘 SNS 아이콘 SNS 아이콘

열린게시판 (101건)

더보기

오늘 마주친 한 구절 (35건)

더보기
  • "돌봄은 절박하다... 최소한 생애 주기의 어느 특정한 시기 혹은 특정한 조건에서 돌봄은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이 된다...그 무게에 비해 대하는 방식은 전혀 절박하지 않다... 오히려 어느 특정한 시점과 조건에서 돌봄이 필요한 사람이 생기면 일상의 조건에서 '지우기'에 바쁘..”

    등록일 : 2025-08-26

  • "   태양 형성에 쓰이고 남은, 그렇지만 우주 공간으로 유실되지 않은 물질의 일부가 목성의 형성에 쓰였을 것이다. p.313   『코스모스』 칼 세이건(사이언스북스)  읽은 날: 2024. 8.30. 오늘 읽은 페이지: ~p.325 ”

    등록일 : 2024-08-30

  • "   종이책을 읽는 것은, 어떤 문구가 공간적으로 어떤 부분에 있으며 다른 문구와 어떻게 붙고 떨어져 있는지 내용과 함께 인지하는 과정이다. 즉, 종이책 읽기는 3차원 공간의 경험이다.     "AI가 아는 것은 과거밖에 없다&qu..”

    등록일 : 2024-07-25

논문(3건)

더보기
검색결과

제목

저자

발행처

링크

나만의 공간을 찾아서: 공간, 그 쓸쓸함에 대하여

임영모

국토 2019년 12월호(통권 제458호)

보기
도시농업을 활용한 유휴공간의 재발견 : 밀워키를 사례로

김민지

토지주택연구원

보기
광고영상에 나타난 색채의 시공간적 심리지각에 관한 연구

김하나, 고재성, 김현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