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를 가진 이가 바라보는 세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자료와 그를 돌보는 이의 이야기를 모았습니다.
안 돼! 하지 마! 위험해! 어른들은 왜 우리가 하는 장난을 안 좋게만 볼까요? 세상은 넓고, 그만큼 궁금한 게 많은데 말이에요! 신기한 것도, 재미있는 것도 한가득인데 어떻게 가만히만 있냐고요. 호기심에 무언가 시작되는 이야기, 천진난만한 개구쟁이의 이야기, 활기차게 하루를 보내는 이야기. 엉뚱하고 기발한 어린이의 모습을 담은 자료를 모았어요. 새로운 놀이를 찾고 있는 여러분에게 권합니다. 어린이의 마음을 도통 이해하지 못하겠다는 어른들이 봐도 좋아요.
어린이에게 재난과 참사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습니다. 재난 관련 지침을 살펴보면 ‘어린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추상적이지 않게 객관적으로 상황을 설명’하라고 안내합니다. 재난 상황을 어린이의 시선에서 바라보고 감정을 헤아릴 수 있도록 실제 있었던 재난을 배경으로 한 아동문학, 그림책 중에서 어린이가 주인공 또는 화자로 나오는 책을 모았습니다. 양육자, 보호자, 성인에게 실마리가 될 자료도 함께 소개합니다.
질문 아이콘 한국 환경 정책의 역사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환경 정책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역사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있나요?
최근 한국의 지속가능한 정책 전환 흐름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현재의 정책 방향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 환경 정책이 어떤 배경과 맥락 속에서
변화해왔는지를 먼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환경 문제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시대별로 어떤 사회·경제적 조건 아래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체계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몇 가지 자료(정부 백서, 환경부 발간 보고서 등)를 찾아보았지만, 연도별 흐름이나 정책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자료를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정보가 흩어져 있거나, 전문적인 용어가 많아 이해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도서관 참고서비스를 통해 보다 신뢰할 수 있고 핵심적인 자료를 추천받고자 합니다.
느티나무도서관은 시민의 관점에서 접근하기 좋은 자료를 안내해주시는 걸로 알고 있어,
이 주제에 관해서도 적절한 길잡이가 되어주실 수 있을 거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등록일 : 2025년 04월 19일
질문 아이콘 TCK (Third Culture Kid, 제3문화아이들) 관련된 자료들이 궁금합니다!
TCK는 'Third Culture Kids'의 줄임말이며 한국어로는 '제3문화 아이들'이라고 한다.
성장기 동안 2개 이상의 문화적 배경을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을 말하며 또 다른 말로는 CCK (Cross Culture Kids)라고도 한다.
TCK는 부모 나라의 문화(제1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고, 해외 문화(제2문화)에도 완전하게 속하지 못하지만, 제1문화와 제2문화를 양쪽 모두 받아들여 만들어진 새로운 제3의 문화 속에서 살아간다는 뜻이다.
TCK의 핵심 요소는 성장기에 외국 문화를 경험했다는 점이다. 성장기(1~18세)는 문화 가치관과 언어, 정체성의 기초가 확립되는 시기이다. 어른이 된 후에는 외국 문화 경험이 '문화 차이' 정도로만 인식되며 외국 체류 경험도 '특별한 추억' 정도로만 기억되는 반면, 성장기에 속하는 아동과 청소년은 향후 귀국하거나 성인이 된 후에도 과거의 외국 문화 경험에 큰 영향을 받는다. 즉 외국에서 성장기를 보내거나 또는 자국에서 외국 문화를 경험하며 자란 사람들에게는 해당 외국 문화 역시 사고방식이나 정체성을 구성하는 일부가 된다.
위 인용은 나무위키에서 발췌한 TCK에 대한 정의입니다. 저 또한 미국 등 여러 나라를 오가며 다문화적인 정체성과 가치관을 가진 성인이 되었고, 자연스럽게 저와 닮은 TCK들과 함께 일하고 살아가는 중입니다. 넓은 문화적 이해도, 다름에 대한 수용능력, 언어구사능력 등 TCK만이 가진 장점이 많습니다만, 정체성의 혼란과 소속감의 부재 때문에 고생하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저와 친구들의 TCK 경험을 녹여 낸 팟캐스트를 기획 중에 있는데요,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이와 관련된 자료들을 만나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좋은 서비스를 알게 된 것 같아 감사합니다.
등록일 : 2024년 11월 26일
질문 아이콘 청소년들을 위한 애드보커시
안녕하세요? CLC희망학교에서 문의드립니다.
청소년들을 위한 애드보커시, 더 나아가서 청년들을 위한 애드보커시에 대한 책을 찾고 싶습니다.
그런 일에 관한 사례,경험을 담고 있는 책을 찾고 있으나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혹시 도움을 주실 수 있나요? 관련된 모든 형태의 자료도 좋습니다.
우리사회의 청소년들, 특히 위기청소년들의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닐뿐 아니라 단적으로 10년 전과 비교해 보더라도
이들의 문제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것을 현장에서 확인하게 됩니다. 이들의 목소리가 우리 사회에서는 너무 작아서 들리지 않고 무시되기 쉽습니다.
청소년을 위한 애드보커시는 그런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그런 활동을 하기 위해 준비중입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해 찾아보았으나 실제로 해본 사람들이나 그런 활동을 하려고 하는 단체의 글을 찾기 어렵습니다.
여러 활동 중 일부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있으나 자세한 사례는 찾을수 없었습니다.
청소년 권리보호나 인식개선 등의 활동을 하고 있는 기관,단체의 경험 또는 학문적 자료 등을 찾고 싶습니다. 이 분야에 대한 책을 아직 찾지 못했습니다.
공동체란 무엇인가에 대해 진부하지 않고 시류에 맞게 정의하고 설명하고 있는 자료도 함께 요청드립니다.
공동체란 단어가 우리 사회에서 이슈화된 지 오래 되었지만 오히려 사람들의 머릿속에 폭좁게 또는 자기 시각으로 왜곡되어 이해되고 있는 경우도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2022년 현재의 시점에서 볼때 공동체는 무엇이고 공동체 정신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자료는 청소년 애드보커시 활동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읽고자 합니다.
등록일 : 2022년 09월 24일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후기] 홈커밍데이_자원활동가편 | 느티나무 |
2025-04-26 |
19 |
[NWNL 뉴스레터] 25년 겨울호 | 연대의 정보: 도서관이 필요한 이유 | 느티나무 |
2025-02-28 |
1994 |
[후기] 저널리즘 풀뿌리 토론 | 2025년 마을포럼 1 | 느티나무 |
2025-02-28 |
2507 |
[예비사서_7기] 예비사서가 보내는 마지막 인사 | 느티나무 |
2025-01-25 |
3188 |
[후기][상주작가] ‘정이립’ 작가에게 듣는 우리 동네 이야기 | 느티나무 |
2024-12-04 |
2896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독서모임 '시선' 2024년 10월 모임 <반 고흐의 시선: 반 고흐, 영혼의 편지 2 > | 앨리스 |
2024-10-11 |
978 |
독서모임 '시선' 2024년 10월 모임 <반 고흐의 시선: 반 고흐, 영혼의 편지 2 > | 앨리스 |
2024-10-11 |
914 |
함께 세상을 변화시킬 '라피치닷._'을 찾습니다. | 라이브러리피치 |
2024-09-12 |
1447 |
[협동조합품] 실용전기 세미나-전기를 이용하는 모든 것에 대한 이해 | 느티나무 |
2023-11-14 |
3227 |
봄 강의. 듣는 감각, 보는 감각의 회복 | 명상학교 봄 |
2023-02-13 |
3476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생활예술티비] #1. "삶이 예술이더라" 느티나무 도서관 박영숙 관장을 만나다 | 2020-06-02 |
8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