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지금 엄중한 도전에 직면했다. 이는 상당부분 우리가 부여잡고 있는 낡아빠진 경제학 사고의 잘못된 상징과 맹점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당당히 반기를 들고 다른 길을 모색하면서 원점에서 다시 생각하고 질문을 던지려는 이들에게는 실로 흥미진진한 시점이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말했다...”
등록일 : 2024.10.22
"<바 위>
별이 되었을 거래요
천사가 됐을지도 모른대요
새로 태어났을 거라고도 해요
다 틀렸어요
언니는 바위가 됐어요
우리 가슴에 들어앉은 커다란 바위
『내가 왔다』 방주현(문학동네)
읽은 날: 2024. 10. 15
오늘 읽..”
등록일 : 2024.10.15
"지윤이는 교실을 천천히 바라보았다. 밝고 다정하던 아이들이 차갑게 변해 있었다. 소희 자리를 일부러 툭 치고 지나가는 아이도 있었다. 하루아침에 변한 교실 분위기가 이상했다. 지윤이는 물 마시러 가면서 소희 책상을 똑바로 맞추고 나갔다.
p.25
..”
등록일 : 2024.10.15
"확실히 지리학은 <무엇> 못지않게 <왜>라는 질문의 근간을 이룬다. (10쪽)
인류 역사에서 지리적 특성을 결정적인 요인으로 보는 것은 한편으론 암울한 세계관으로 인식될 수 있다.(17쪽)
『지리의 힘』 팀 마샬 지음, 김미선 옮김, (..”
등록일 : 2024.10.15
"
별, 행성과 같은 세계 또한 우리 인간들처럼 태어나서 성장하고, 결국 죽어서 사라진다. p.428
『코스모스』 칼 세이건(사이언스북스)
읽은 날: 2024. 10.11.
오늘 읽은 페이지: ~p.429
”
등록일 : 2024.10.11
"
기후위기 시대에는 내가 원하는 만큼 언제든 무한정 식품을 구할 수 있다는 믿음이 아니라
불확실성이 언제든 상존할 수 있다는 먹거리 감각을 갖춰야 한다.
정부는 농산물의 생산량 등락에 따라 시민들이 불안하지 않게끔 정책을 설계하되
이런 새로운 감각을 공유할 방법도 함께 모색해야 한다.
..”
등록일 : 2024.10.10
"느티나무 도서관은 정말 멋있었다. 건물에 어우러진 담쟁이넝쿨이 외국의 멋진 성처럼 보였다. 도서관 입구에 피어 있는 작고 하얀 꽃이 꼭 내 맘처럼 살랑거렸다.
p.131
사실은, 헌재가 진짜 좋아졌어. 진짜로 사귀려고. 그리고 이번엔 내가 먼저 고백하려고. 우린 서로 첫사랑..”
등록일 : 2024.10.10
"<그림자 춤>
자기 그림자를 태우는
불의 춤을 보았니?
훨훨 타오르며 사라지는
그림자의 춤을 보았니?
『기뻐의 비밀』 이안(사계절)
읽은 날: 2024. 10. 8
오늘 읽은 페이지: 82”
등록일 : 2024.10.08
"자꾸 미안하다고 하니까 이상하게 나도 괜히 미안해지는 거 있지. 세상에, 내가 왜. 그만하래도 자꾸 미안하대. 그래서 내가 그랬어. "한 번만 더 미안하다고 하면 죽여버린다." 근데 있잖아, 결국 나도 미안하다고 해버렸어, 사는 게 참 씨발 같아. 그치?
- <L..”